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화려한 담배 포장지들로 가득찬 인상적인 시퀀스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한 로비스트의 나레이션으로 이어져요. 그에겐 도덕이란 플렉서블할 수 있는 가치이고 그의 재능이 가장 빛나는 일을 보람있게 하고 있다고 계속해서 강조합니다. 여기서 로비스트 역활을 맡은 닉 네이러는 보스턴리갈의 앨런쇼어라는 캐릭터에서 선한 면면만을 빼고는 거의 닮아보이는 캐릭터에요. 그는 아들에게 미국이란 나라의 자랑스러움을 말하고 자신의 로비스트 일을 전수해주는 데도 거리낌이 없죠. 하지만 닉네이러는 "오프더레코드"에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나는 단지 주택 대출금을 갚기 위해 이 일을 하는 것 뿐이라고요. 그렇습니다. 영화에서 보여지는 "로비스트"라는 직장은 닉 네이러의 화려한 "말솜씨"에도 불구하고 언제 짤릴지 모르는 위험천만한 곳이에요. 언제나 많은 대중들과 언론과 정치인들이 그를 괴롭힙니다. 그러나 그것을 단지 꿋꿋하게 그의 "재능"으로 버텨나갈뿐이죠. 그에겐 총기협회와 주류협회 로비스트 친구 둘과 자신을 동경하는 아들만이 전부입니다. 세상은 그를 모두 악인이라고 손가락질하죠. 단지 그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일을 그것도 주택 대출금을 받기 위해 하는 것뿐인데 말이죠.  이 영화는 담배회사만을 나쁘게 비추지 않습니다. 로비스트도 나쁘지만 로비스트에 맞서는 기자나 환경단체 NGO 정치인들이 정당하게 보이지만은 않습니다. 네 이영화는 현실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얼마나 당신은 정의롭게 사는가라는 데 대한 물음입니다. 누구나 가벼운 정의를 한번쯤 무시하고 사니까요. 그리고 그것이 커다란 "정의"를 위해선 어쩔수 없는 것이다라고 합리화 합니다. 이런 관점은 개인의 자유가 어느정도 지켜지는 미국에서나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상황에선 배부른 고민이죠. 안타깝게도 이 영화에서 "약자"로 비쳐지는 로비스트같은 군상들은 우리나라에선 "최강자"의 위치에 있습니다. 언론과 정치와 타락한 경제인들이 거대한 권력의 카르텔을 형성한걸 우린 "현실"에서 이미 보고 있으니까요. 그런점에서 이 영화가 굉장히 현실적인 플롯을 통해 재미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딘가 모르게 "판타지"스럽게 보이기도 합니다. 영화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거 같진 않습니다. 다만 우리 현실이 건전한 상식마져 우습게 보일정도로 왜곡되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어요.
(- 오늘 방문자) (- 어제 방문자) (- 총 방문자)
*s e a r c h
Category openCategory close